그냥저냥

트럼프의 새 관세 폭탄 💥! 나라별 대응 정리📊😡🌎 (4월 10일기준)

피슈한마리 2025. 4. 10. 16:15
반응형

안녕~~


2025년 4월 2일, 트럼

그렇다면,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?
아래 표에 2025년 4월 10일 기준, 국가별 보복 관세 및 미국의 반응을 깔끔히 정리해 봤습니다. 📊👇


 

 



📊 국가별 보복 관세 및 미국 대응 (2025년 4월 10일 기준)


중국 - 미국산 농산물, 자동차 등에 84% 보복 관세 부과 - 기존 104% → 125% 추가 관세 인상
- 미국은 "중국이 협상에 응하지 않으면 더 강한 조치" 경고
EU - 230억 달러 규모 보복 관세 예고
- 대두, 와인, 고기 등 대상
- 트럼프 “WTO는 구식이다” 언급하며 강경 대응
- 일부 EU 기업 대상 추가 규제 가능성 시사
캐나다 - USMCA 비준수 품목에만 제한적 보복 관세 - USMCA 준수 제품은 관세 면제 유지
- 트럼프 "캐나다는 파트너지만 기준은 지켜야" 언급
멕시코 - 보복 관세 미시행, 대신 국경 물류 강화 발표 - USMCA 기준 충족 시 면세 유지
- 멕시코에 이민 및 마약 관련 조건 협상 지속
한국 - 공식적 보복관세는 아직 없지만, 외교 경로 통한 철회 요청 중 - 10% 관세 부과, 90일 유예 조치
- 90일 이내 협상 미타결 시 관세 상향 가능성
일본 - 보복관세 검토 중, 구체 품목은 비공개 - 자동차 등 일본 주력 수출품에 24% 관세 부과
- 일본 외무성, 미국에 "신중한 대응 요청" 전달
인도 - 미국산 농축산물 대상 관세 검토 중 - 10% 관세 부과, 90일 유예 조치
- 인도도 미국과의 외교 협상 채널 유지
영국 - 보복 관세 검토 중, 기업 의견 수렴 절차 진행 - 10% 관세 부과, 90일 유예 조치
- 미국은 "브렉시트 이후 무역 유연성 확보 기회로 봐야" 입장
호주 - 관세 대신 외교적 항의 표명, 경제 보복은 고려 안함 - 10% 관세 부과, 90일 유예 조치
- 트럼프 "호주도 예외 없다" 발언으로 경고 메시지

💬 마무리하며

이번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**미국 우선주의(America First)**를 다시 전면에 내세우는 강수입니다.
하지만 상대국도 가만있지 않죠.

이미 보복 관세 + 협상 카드로 미국과 치열한 줄다리기가 시작됐습니다.

 

우리나라는 국가 리더가 없는 상태에서 90일 유예조치를 받았어요.

다행이라고 생각해요

시간을 두고 대통령를 뽑고 대응하는 게 더 좋아 보이네요.

어설프게 대응했다가는 경제 타격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봅니다.

어떻게 생각하세요?

그럼 이만 안녕~~!!

 

 

반응형